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7

숨은 돈 찾기 3가지 방법 많은 분들이 예전에 만들어 놓은 예금, 적금을 잊고 있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또 깜박하고 아직 받지 않은 보험금도 많다고 해요. 소중한 우리 돈이 어디 숨어있나 찾으러 가볼까요~ 1. 잊어버린 예금 찾기 금융회사는 특정한 기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휴면 예금'으로 분류합니다. 이렇게 잠자는 돈이 무려 1조 원이 넘는 다고 하니 잠자고 있는 나의 돈을 깨우러 가요. 금융위원회는 잊기 쉬운 휴면 예금으로 다음 4가지를 뽑았습니다. ① 스쿨뱅킹: 급식비 등을 만원 단위로 입금하기 때문에 잔액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장학적금: 전학을 하면서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③ 장기 예적금: 주거래은행을 바꿔도 예적금과 신탁은 거래은행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만기까지 기다리다가 잊어버리는 경우가 .. 2022. 9. 15.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혜택 쉽게 정리!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혹시 아직 없으시다면 지금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2023년부터는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이 커지기 때문이에요. 알기 쉽게 올해와 비교해 볼게요~ 올해까지는 이렇게 적용돼요 ★50세 미만일 경우 *총급여액이 5,500만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이하: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5%(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올해 연금계좌에 700만원을 넣으면 연말정산 때 700만원의 15%인 105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총급여액 5500만원 초과: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2%(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700만원을 넣었다면 700만원의 12%인 84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50세 이상일 때.. 2022. 9. 13.
깡통전세란? 피하는 방법 최근 집값이 하락함에 따라 깡통전세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는 전세 사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에, 미리 공부해서 예방해야겠습니다. 한번 쉽고 자세히 알아볼까요~ ★깡통 전세란? 보통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70퍼센트를 넘어서면 깡통 전세로 봅니다. ​※ 위험해요! *전세가 > 매매가​ *전세가 + 대출금 > 매매가 ※ 확인할 점! 모든 깡통전세가 전세 사기로 이어지는 건 아니에요. 집값이 떨어져 자연스레 깡통전세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집을 경매에 넘겨 보증금을 못 받는 등의 사례가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금을 제때에 갚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갈 수 있고, 경매에서 낙찰된 금액으로 대출금을 갚고 나면 세입자에게.. 2022. 9. 13.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과 지급일 올해 상반기 근로장려금 신청하셨나요? 신청기간은 9월1일(목)~9월 15일(목)까지이니 놓치지 마세요~ 그럼 신청자격 등을 자세히 알아볼께요^^ ★근로장려금이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어려운 근로자와 사업자에게 국세청이 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1가구에 1명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작년 12월 31일 기준 배우자, 부양가족 유무에 따라 단독 홑벌이, 맞벌이 가구로구분합니다. 지난해 부부 합산 총소득과 올해 부부 합산 근로소득이 ◎단독가구일 경우 : 2,200만원 ◎홀벌이가구일 경우 : 3,200만원 ◎맞벌이가구일 경우 : 3,800만원 미만이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 지난해 6월 1일 기준으로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이 2억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이때 빚은 빼지 않습니다.. 2022. 9. 13.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