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정보★19 기초연금 vs 노령연금 차이 , 중복 가능 총정리 (2024 모의계산)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너무 헷갈리지 않으신가요? 두 개가 같은 건지 다른 건지, 다르다면 중복은 되는 건지, 아주 쉽게 알려드립니다. 지금 딱 알고 가세요! 핵심 요약 노령연금: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 본인의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 이후부터 평생 매월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의 대표적인 급여(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국민연금이 바로 노령연금입니다!) 노령연금액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납부한 보험료와 가입기간에 따라 달라짐 기초연금: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만 65세 이상인 자 중 소득하위 70% 이하인 분들께 국가에서 매월 지급하는 연금 노령연금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본인의 출생연도에 따른 지급개시연령 이후 평생 매월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개시연령은 출생연도별로 다릅니.. 2024. 1. 24. 2023년 국민연금&기초연금 5.1% 인상, 내 연금 조회하기 올해 받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장애인 연금 수령액이 지난해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기존보다 5.1% 오른다고 합니다. 인상분은 이달 수령액부터 반영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알려드리니 내 연금 조회하기까지 한 번 해보세요! 국민연금 수령 나이 출생연도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시기가 다릅니다.(만 나이 기준) 52년생 이전 : 60세부터 수령 53년생 ~ 56년생 : 61세부터 수령 57년생 ~ 60년생 : 62세부터 수령 61년생 ~ 64년생 : 63세부터 수령 65년생 ~ 68년생 : 64세부터 수령 69년생 이후 : 65세부터 수령 🔽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나이가 55세에서 60세 사이이면서 현재 소득이 없다면, 수령시기를 앞당겨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년을 빨리 앞당겨 .. 2023. 1. 10. 국민연금 임의가입, 임의계속가입 제도 차이점 국민연금 제도 중에 이름이 비슷하여 헷갈린 적 많으시죠. 저는 특히 임의가입과 임의계속 가입이 너무 헷갈렸어요. 두 제도의 차이점 쉽고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임의가입이란? 임의가입 제도는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니더라도 본인이 희망한다면 가입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 소득이 있는 국민이라면 의무가입 대상이지만, 소득이 없는 만 27세 미만의 학생이나 무소득 배우자(부부 중 소득이 없는 사람), 군인, 기초수급자 등이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하여 국민연금에 가입하실 수 있어요. 임의가입자는 얼마내야 하나요? 임의가입자는 납부의 기준이 되는 소득이 따로 없기 때문에, 국민연금 지역가입자의 중위수 소득에 해당하는 연금보험료를 냅니다. 2022년 4월 기준 .. 2022. 12. 13. 국민연금 유족연금[수령조건, 신청방법, 수령액 등 총정리] 국민연금 유족연금은 국민연금을 받으시던 분이 사망하시어, 그 유족들에게 지급되는 연금인데요. 그 기준이 무엇인지 어떻게 지급되는지 조금 어렵고 복잡해 보이는 게 사실입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액 및 수령조건, 지급기간,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국민연금 유족연금이란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였던자)이거나 노령연금 또는 2급 이상 장애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망하면 그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던 유족들이 안정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급여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유족연금은 사망자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에 따라 기본연금액 일부에 가족수당 성격의 ‘부양가족 연금액’이 더해져 매달 지급됩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액은 국민연금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입 기간 10년 .. 2022. 12. 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