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정보★19 [연금저축 연말정산 소득공제]등 총정리 연말정산이 다가오면 연금저축(연금계좌)에 관심이 많아지는데요. 내년부터 연금저축 혜택이 더 좋아진다고 해요! 자세히 살펴볼게요~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저축처럼 계좌에 돈을 모아서, 나이가 들었을 때 연금처럼 돌려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돈을 자산운용사가 관리하면 연금저축펀드, 보험사가 관리하면 연금저축보험이라고 부릅니다. 둘 다 '연금저축'이라고 하고요, 받을 수 있는 혜택은 같습니다. 내년부터 더 좋아지는 연금저축 혜택 3가지 1. 연말정산 때 세금을 줄여줘요 ◆연말정산을 할때 연금저축에 얼마 넣었는지에 따라 세금을 줄여주는데요(세액공제) ◆1년에 4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었는데요. 2023년부터는 6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다고 해요! ※ 예를 들어볼게요. 2023년에 연금저축에 60.. 2022. 10. 11.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점, 중복수령 가능?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이 비슷해 보여서, 무엇이 다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다시는 헷갈리지 않도록 쉽게 설명해 드릴께요~ 1. 노령연금이란? 가입 기간은 10년 이상이여야 하구요, 가입 기간 중 납부한 보험료 및 기간에 따라 연금을 지급합니다. 최소 가입 기간을 채운 경우에, 본인의 연금수급연령이 되면 매월 받을 수 있는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의 가장 대표적인 급여입니다. 우리가 평소 국민연금하면 생각나는 일반적인 연금이 바로 노령연금입니다. 국민연금 최소 가입 기간인 10년은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만요, 연금을 받을수 있는 나이는 출생연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답니다. 노령연금액은 국민연금가입 기간 중 납부한 보험료 및 기간에 따라 달라져요. 따라서 같은 시기에 같은 기간을 납부하더라.. 2022. 9. 24.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이익일까? 국민연금은 만 65세가 되면 받을 수 있죠. 그런데 요즘 조금 더 일찍 국민연금을 받겠다고 신청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하는데요. 조기 수령 나이와 그 이유, 그리고 조기 수령이 이익인지 알아볼게요. ★국민연금이란? 노령ㆍ장애ㆍ사망 등으로 돈을 벌 능력이 없어졌을 때, 국가가 생활 보장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만 18~60세 직장인이라면 모두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고, 매월 월급의 약 9%를 보험료로 내며, 4.5%씩 본인과 회사가 반반 부담해요. 이렇게 모인 돈은 만 65세가 지나면 매달 일정 금액씩 받게 됩니다. ★만 65세보다 빨리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연금은 만 65세가 되면 받을 수 있지만, 5년을 당겨 만 60세부터 받을 수도 있답니다. 대신 1년 일찍.. 2022. 9. 16.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혜택 쉽게 정리!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혹시 아직 없으시다면 지금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2023년부터는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이 커지기 때문이에요. 알기 쉽게 올해와 비교해 볼게요~ 올해까지는 이렇게 적용돼요 ★50세 미만일 경우 *총급여액이 5,500만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이하: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5%(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올해 연금계좌에 700만원을 넣으면 연말정산 때 700만원의 15%인 105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총급여액 5500만원 초과: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2%(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700만원을 넣었다면 700만원의 12%인 84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50세 이상일 때.. 2022. 9.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