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이 다가오면 연금저축(연금계좌)에 관심이 많아지는데요.
내년부터 연금저축 혜택이 더 좋아진다고 해요!
자세히 살펴볼게요~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저축처럼 계좌에 돈을 모아서, 나이가 들었을 때 연금처럼 돌려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돈을 자산운용사가 관리하면 연금저축펀드, 보험사가 관리하면 연금저축보험이라고 부릅니다.
둘 다 '연금저축'이라고 하고요, 받을 수 있는 혜택은 같습니다.
내년부터 더 좋아지는 연금저축 혜택 3가지
1. 연말정산 때 세금을 줄여줘요
◆연말정산을 할때 연금저축에 얼마 넣었는지에 따라 세금을 줄여주는데요(세액공제)
◆1년에 4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었는데요.
2023년부터는 6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다고 해요!
※ 예를 들어볼게요.
2023년에 연금저축에 600만원을 넣었을 때, 세액공제 금액입니다.
- 총급여가 5,500만 원보다 적다면
- 600만원의 16.5%인 99만 원을 공제받아요. - 총급여가 5,500만 원보다 많다면
- 600만 원의 13 2%인 79만 2000원을 공제받아요.
계산 결과, 올해보다 약 30만 원 정도 더 세액공제를 받게 됩니다.
2.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많아집니다.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했다면 계좌에 모은 돈을 펀드나 ETF에 투자해 수익을 만들 수도 있는데요.
앞으로는 리츠에도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리츠란?
주식처럼 사람들이 투자한 돈을 모아 오피스 쇼핑몰 같은 대형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자본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여기서 나온 수익은 투자자들에게 배당금 형태로 나눠줍니다.
◆리츠에서 나온 수익을 배당받을 때는 일반적으로 15.4%의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연금계좌에 저축한 돈으로 투자를 하면 배당받을 때 바로 세금을 떼지 않고, 나중에 돈을 인출할 때 세금을 내도록 선택할 수 있답니다.
◆세금을 내는 건 똑같지만 세금 내는 시점을 미룰 수 있는 건데요.
그 기간에 세금으로 냈어야 하는 돈을 가지고 다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3. 전문가에게 맡겨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몇몇 사람들은 연금저축계좌를 전문가에게 맡겨서 운용했어요.
하지만 이때에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는 정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았어요.
◆앞으로는 연금저축계좌를 전문가가 관리하더라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정부가 확인해준 것이랍니다.
※ 연금저축계좌를 전문가에게 맡기는 2가지 방법
일임 : 계좌를 전문가에게 아예 맡겨서 어떤 상품에 투자할지 정하고, 상품에 가입하거나 주문하는 것도 전문가가 알아서 하도록 하는 방법
자문 : 전문가에게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지 추천만 받고, 최종 상품 가입이나 주문은 본인이 직접 하는 방법
[출처-토스]
연금 세금 절약 방법(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공제하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은퇴하고 수입이 없어서 연금으로 생활하는데 세금을 공제해가면 정말 타격이 큽니다. 그럼 이 세금을 줄일 방법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
ak12.miri-main.com
'★연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 방법(쉽고 자세히) (0) | 2022.10.24 |
---|---|
2023년,달라지는 개인연금 세액공제 한도 쉽게 알아봐요~ (0) | 2022.10.24 |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점, 중복수령 가능? (0) | 2022.09.24 |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이익일까? (0) | 2022.09.16 |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혜택 쉽게 정리! (0)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