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7 기초연금 vs 노령연금 차이 , 중복 가능 총정리 (2024 모의계산)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너무 헷갈리지 않으신가요? 두 개가 같은 건지 다른 건지, 다르다면 중복은 되는 건지, 아주 쉽게 알려드립니다. 지금 딱 알고 가세요! 핵심 요약 노령연금: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 본인의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 이후부터 평생 매월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의 대표적인 급여(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국민연금이 바로 노령연금입니다!) 노령연금액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 납부한 보험료와 가입기간에 따라 달라짐 기초연금: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만 65세 이상인 자 중 소득하위 70% 이하인 분들께 국가에서 매월 지급하는 연금 노령연금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본인의 출생연도에 따른 지급개시연령 이후 평생 매월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개시연령은 출생연도별로 다릅니.. 2024. 1. 24. 부녀자 공제 대상 조건 3천만원 (연말정산 인적공제 한부모공제) 연말정산 부녀자 공제 대상 조건 궁금하시죠? 연말정산 인적공제의 하나인 부녀자 공제 조건에 대해 쉽고 간단히 알아볼게요! 연말정산 인적공제: 부녀자공제 및 한부모공제 연말정산에서 인적공제에는 기본공제와 추가공제가 있는데요. 여기에서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는 추가공제 항목에 해당합니다. 연말정산 환급금조회 부녀자공제 대상: 종합소득금액이 3,000만 원 이하인 거주자 배우자가 있는 여성 배우자가 없는 여성으로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 공제 금액: 연 50만원 조건: 해당 부양가족의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근로소득금액만 있는 경우 총급여가 500만 원 이하) 판단 근거: 주민등록표등본 또는 가족관계등록부 한부모공제 대상: 배우자가 없는 근로자이며 기본공제대상자 중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 2024. 1. 24.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청년희망적금 만기 환승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오는 시기가 되었어요. 그래서 정부에서는 1월 25일부터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연계를 지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연계 가입 시 좋은 점, 연계가입 신청기간, 가입절차 등 궁금한 점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환승하러 가보실까요~! ■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가입 혜택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으며,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매칭 지급합니다! 청년도약계좌바로가기 ■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예시: 계좌개설 시 1,260만 원 일시납입 월 설정금액 70만 원 18개월(1,260=70) 동안 일시납입금 납입전환 간주 추가적인 이자 소득 가능! 40, 50, 60, 70만 원 중에서 가입자가 선택 가능(계좌개설 이후 중도변경 제한) ■.. 2024. 1. 24. 연금저축 IRP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 상품으로, 연말정산을 통해 납입금의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죠. 연금저축 IRP 연말정산 소득공제, 과연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연금저축과 IRP 세제 혜택 연금저축과 IRP 연말정산 세제 혜택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연간 총급여가 5500만원(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인 경우 16.5%의 공제율을 적용받습니다. 연간 총급여가 5500만원 초과인 경우 13.2%의 공제율을 적용받습니다. 900만 원을 꽉 채워 넣었다면 각각 148만 5000원(16.5%) 및 118만 8000원(13.2%)을 연말정산에서 환급받습니다. 연금저축과 IRP 납입 기한 연금저축은 12월 31일까.. 2024. 1. 24. 이전 1 2 3 4 5 6 7 8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