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금리 얘기가 계속 TV에 나오죠.
금리가 오르면 대체 무슨 일이 생기길래 자꾸 언급이 되는 것일까요?
한번 알아볼께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 p 올렸어요.
기준금리가 3.0%가 된 것은 2012년 이후로 1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하는데요.
이번 금리 인상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해요.
왜 한번에 금리를 올렸냐면요
환율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 금리보다 낮으면, 우리나라에 들어온 외국인 자금이 미국으로 나갈 가능성이 큽니다.
높은 금리를 찾아 투자하기 위해 떠나는 거죠.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에는 달러가 부족해지고 달러의 가치가 원화의 가치보다 높아져서 환율이 올라가요.
환율이 높으면 수입품의 가격이 높아지고, 이는 전체 물가가 올라가게 합니다.
결국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서 금리를 올린 것입니다.
과거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사실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 금리보다 낮다고 무조건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는 건 아니에요.
이전에도 이런 상황이 세 번 있었지만, 이 이유로 기준금리를 높이지 않았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이가 계속해서 벌어지는 상황이고, 미국의 기준금리가 또 언제 오를지 모르는 상황이에요.
금리 차이가 계속 벌어진다면 과거와 다르게 정부에서도 외국 자본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위험성을 인정한 거죠.

금리가 올라가면 이론적으로 이런 일들이 생깁니다.
1. 물가가 내려가요
현재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5%입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는 것인데요.
내년 상반기까지는 5%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를 조정해 환율을 낮추어 물가를 내릴 예정이라고 해요.
2. 부동산 가격이 내려가요
금리 부담이 커지면서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어요.
수요가 없으니 당연히 집값은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3. 빚이 있는 사람들의 부담이 커져요.
기준금리가 올라가면서 가장 빨리 영향을 받은 것이 대출금리입니다.
대출 이자가 빠르게 상승해 빚이 있는 사람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거예요.
금리는 계속 오를 거예요
금리가 계속 오르면 이자로 나가는 돈이 늘어나고 부동산 가격이 줄어드는 등 사람들은 경제활동이 줄어들겠죠.
이는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한국 은행은 물가를 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여겼어요
올해 11월에 한 번 더 기준금리를 올리는 회의가 있는데요.
한국은행은 이때 한번 더 금리를 올릴 수 있답니다.
어느 정도까지 올릴지 알 수 없지만 전문가들은 3.5% 정도로 예상하고 있어요.
10월 14일 저녁,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작년 대비 8.2%로 올랐다고 발표됐어요.
물가가 상승하니 미국또한 기준금리를 올릴 거예요.
이는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또 한번 올라가는데 영향을 줄 예정입니다.
[출처-토스]

요즘 물가도 올라가고, 이자도 올라가고 참,,생활이 팍팍해졌는데요.
이 모든 어려운 상황이 빨리 지나가고 다시 활기찬 분위기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NFT가 대체 뭘까?이제는 알고 싶다.
드디어 NFT가 궁금해지고 말았어요. 저한테는 용어부터 어려운데요. 아직 생소하고 어려우니까 쉽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카카오, 하이브, 메타, 디즈니, 뉴욕증권거래소까지 NFT(Non-Fungible Token, 대
ak12.miri-main.com
'★경제, 사회,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월세공제 방법,조건,서류(소중한 내 돈 돌려받기) (0) | 2022.11.01 |
---|---|
친환경 보일러 보조금 신청해서 보일러 교체비용 아끼세요! (0) | 2022.10.25 |
NFT가 대체 뭘까?이제는 알고 싶다. (0) | 2022.10.14 |
우회전 일시정지 신호위반 기준/범칙금 및 벌금 (0) | 2022.10.12 |
자영업자 실업급여 신청방법, 자격 (0)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