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보는법(집 계약시 주의)

by 부자 언니 12 2022. 9. 5.

집을 계약하실 때 임대차 계약서를 보는 것이 어렵지 않으셨나요?

저는 부동산에서 알아서 봐주겠지 하고 대충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봐도 잘 모르기도 했고요😂

하지만 반드시 알고 있어야 나의 소중한 자산을 지킬 수 있으니 이제라도 꼼꼼히 알아보기로 해요.

어렵지 않으니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건축물대장, 등기부등본, 계약서를 대조해 보시면 됩니다!! 

1. 건축물관리대장과 등기부등본,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의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

 

건축물대장은 건물이 언제 어디에 지어졌는지,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어떤 종류이며 어떤 구조인지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정부가 관리하는 문서입니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에 쓰여 있는 정보가 건축물대장과 다르면 "내가 여기에 살고 있다"라는 권리를 인정받기 어려워질 수 있답니다.

그럼, 건축물대장과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를 비교해 보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①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건축물 관리대장을 열람해요


계약할 집 주소를 적은 후, 일반(단독주택) 또는 집합(아파트, 연립주택 등)중 하나를 선택하고, 대장 종류는 '일반'에 두고 검색합니다.


이때 일반(단독주택)이란 주인 한 명이 건물을 전부 소유해 여러 호실을 관리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층수가 낮은 원룸 건물을 말합니다.

집합(아파트, 연립주택 등)은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주인 한 명이 한 개의 호실만 가진 아파트, 오피스텔 등입니다.

건물(동) 명칭의 경우 필수 입력사항이 아니므로, 반드시 입력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정부 24 바로가기 클릭★

 

 

건축물대장과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에 적힌 주소가 같은지 확인합니다.

집합(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건축물대장을 열람하면 다음과 같은 문서가 나오는데요.

건축물대장

☆ 별 표시 부분의 주소가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의 적힌 부분☆☆과 동일해야 합니다. 

임대차 계약서

또한 등기부등본의 '표제부'에 적힌 주소 ☆☆☆와 동일해야 해요.

등기부등본

※ 주의할 점
건축물대장이나 등기부등본 중 하나가 없는 집이 있어요. 

둘 중 하나만 확인하게 되면 법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권리를 주장하기 힘들어집니다.

이럴 때는 더 많은 특약을 만들고, 분양계약서를 포함한 다른 서류를 추가로 검토하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하지만 이런 집보다는 서류가 모두 확실하게 확인이 가능한 집을 알아보시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2. 건축물대장과 등기부등본의 소유주가 동일한지 확인

건축물대장

건축물대장의 별 표시☆부분에 집주인(소유자)에 대한 정보가 있어요. 이정보와 등기부등본,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의 정보와 동일하면 됩니다. 

등기부등본

등기부등본에서 '갑구'에 적혀있는 소유자 정보를 보시면 됩니다. 

 

임대차계약서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에 있는 임대인(집주인)의 정보를 확인하시면 되고요.

집주인의 신분증과도 대조하여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도 함께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주의할 점 

건축물대장과 등기부등본은 다른 문서입니다.

건축물대장은 건물의 주소, 용도, 목적 등 건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문서이고,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을 누가 소유했는지, 저당 잡혀 있는지 등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만약 내가 계약하려는 곳에 대해 건축물대장과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의 정보는 같은데, 등기부등본만 정보가 다르다면, 등기부등본이 최신화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보통 등기부등본이 영업일 기준 2~5일 안에 되기 때문에 집주인이나 공인중개사에게 등기부등본이 최신화되면 계약을 하자고 얘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어떠신가요? 어렵게 생각해서 그렇지 막상 너무 간단하지 않나요? 

건축물대장, 등기부등본, 계약서 요렇게 딱 3개의 정보만 비교해 보시면 됩니다!!

내 집에 문제가 발생하면 아무도 책임져 주지 않으니까요~ 

꼼꼼히 살펴보고 계약하기로 해요~

 

부동산 관련 다른 유용한 정보들도 아래에서 살펴보고 가세요^^

▼▼▼▼▼▼▼▼▼▼▼▼

LTV과 DTI, DSR의 개념과 차이점

 

LTV과 DTI, DSR의 개념과 차이점

요즘 대출 정책이 너무 자주 바뀌어서 "그래서 도대체 내가 돈을 빌릴 수 있는 건지 없는 건지?" 하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TV에서 많이 등장하는 LTV, DTI, DSR 3가지 개념만 알아도, 우리의 대출 가

ak12.miri-main.com

전세 계약 연장할 때 계약서 다시 써야 할까?

 

전세 계약 연장할 때 계약서 다시 써야 할까?

저를 비롯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내용입니다. ★ 전세 계약 연장할 때 임대차 계약서를 다시 작성해야 할까요? 1. 먼저 전세보증금이 똑같다면 계약서를 새로 쓸필요가 없습니다. 처음 계

ak12.miri-main.com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