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혹시 아직 없으시다면 지금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2023년부터는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이 커지기 때문이에요.
알기 쉽게 올해와 비교해 볼게요~
올해까지는 이렇게 적용돼요
★50세 미만일 경우
*총급여액이 5,500만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이하: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5%(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올해 연금계좌에 700만원을 넣으면 연말정산 때 700만원의 15%인 105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총급여액 5500만원 초과: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2%(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700만원을 넣었다면 700만원의 12%인 84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50세 이상일 때
*총급여액이 1억2000만원(종합소득금액 1억원)이하:
연금계좌에 넣은 돈 중 1년에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액이 1억 2000만원 초과:
연 7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소득이 5500만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이하면 15%, 초과면 12%가 적용됩니다.
내년부터는 어떻게 바뀌나요?
1. 나이와 소득에 관계없이 연금계좌에 넣은 돈 중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답니다.
2. 총급여액 5500만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이하라면 15%를, 초과라면 12%를 적용하는 것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연금을 받을 때 내야 하는 세금도 유리한 방향으로 선택하는 방향으로 바뀔 예정이라고 하네요.
*올해까지는 개인연금 수령액이 1년에 1,200만원 이하인 경우 나이에 따라 받은 금액의 3.3~5.5%(지방소득세 포함)를 연금소득 세금으로 내야 했습니다. 1,200만원을 넘게 받았을 때는 다른 소득에 연금소득이 더해져 6.6~49.5%를 종합소득세로 내야 했지요.
*내년부터는 개인연금 수령액이 1년에 1,200만원을 넘을 경우 6.6~49.5%의 종합소득세 또는 16.5%의 분리과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바뀔 예정입니다.
◎참고:분리과세란?
특정한 소득을 종합소득에 더하지 않고, 분리하여 세금을 내는 것입니다.
16.5%의 분리과세를 선택한다는 건, 다른 소득과 상관없이 연금으로 받은 금액은 따로 계산하여 세금을 내겠다는 거예요.
더해서 내는 게 유리한지 분리해서 내는 게유리한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니 계산을 해보아야 합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정보는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연금 정보★] 연금 세금 절약 방법(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
연금 세금 절약 방법(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공제하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은퇴하고 수입이 없어서 연금으로 생활하는데 세금을 공제해가면 정말 타격이 큽니다. 그럼 이 세금을 줄일 방법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
ak12.miri-main.com
[★연금 정보★] 국민연금 추납제도 알아보기(납부방법)
국민연금 추납제도 알아보기(납부방법)
그동안 못 낸 국민연금 꼭 내야 하는지 궁금하셨죠? 내는 것이 좋은지, 안내도 되는 것인지 한번 알아보기로 해요^^ 국민연금을 내고 계신가요? 회사를 다니면 국민연금(월 소득액의 4.5%)을 냅니
ak12.miri-main.com
[★연금 정보★] 주택연금 가입조건(수령액 얼마?)
주택연금 가입조건(수령액 얼마?)
요즘 주택연금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특히 우리 부모님 세대에는 개인연금이 보편적이지 않아서 노후가 막막한 경우도 있으실 텐데요. 이럴때 주택연금을 활용하시면 좋을
ak12.miri-main.com
'★연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점, 중복수령 가능? (0) | 2022.09.24 |
---|---|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이익일까? (0) | 2022.09.16 |
연금 세금 절약 방법(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 (0) | 2022.09.07 |
국민연금 추납제도 알아보기(납부방법) (0) | 2022.09.03 |
주택연금 가입조건(수령액 얼마?) (0) | 2022.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