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사회, 제도★60 [OECD]2023년 한국 성장률 전망 2022년을 힘들게 버텨오신 분들 많으실 거예요. 과연 2023년에는 한국 경제 사정이 좀 나아지는지 많이 궁금한데요. OECD에서 발표한 2023년 한국 성장률 전망 알아볼게요! 1. 내년 성장률 1.8%로 하향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경제전망에서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예상했어요. 지난 9월 전망에서 제시된 2.2%에서 0.4% 포인트 하향 조정된 수치인데요. OECD는 고물가와 고금리, 전 세계 경기 둔화 등에 소비와 수출이 둔화하면서 내년 성장 흐름이 약화할 것으로 전망했어요. OECD는 "처분가능소득 증가세가 둔화하고 주택시장이 부진하면서 민간 소비와 투자가 모멘텀(동력)을 잃을 것"이라며 "부채 상환 부담 확대에 따른 주택 가격 조정 가속화와 기업 부실 확대도 소비·투자 하.. 2022. 12. 20. 연차와 연차수당[연차가 남았다면] 회사에서 일을 하고 계시다면 꼭 알아야 하는 제도가 있어요. 바로 연차와 연차수당인데요. 법적으로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정당한 권리인 만큼 연차와 연차수당은 꼭 알고 계셔야 해요! 연차란? 연차의 정식 명칭은 ‘연차 유급휴가'인데요. 근로기준법에서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 기간 근로한 경우 유급휴가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연차는 보통 근로한 기간과 출근율에 따라 결정되는데,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르면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반드시 15일의 연차 유급휴가를 주어야 해요. 지급된 연차는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만일 연차를 사용 기한 내 소진하지 못했다면 연차수당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입사원이라면?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신입사원의.. 2022. 12. 19. 육아휴직제도와 육아휴직급여 알아보기 요즘 출산율이 너무 낮아서 걱정입니다. 정부는 부부들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육아휴직 기간을 1년 6개월로 연장했는데요. 육아휴직제도와 육아휴직급여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육아휴직제도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나,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신청하는 휴직 제도 ※ 2020년 2월부터는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합니다. 육아휴직급여는 얼마나 주나요? 육아휴직 기간 동안 통상임금의 80%(상한액 월 150만 원, 하한액 월 70만 원)를 지급합니다. 이 중 25%에 해당하는 금액은 회사에 복직한 뒤 6개월 후에 일시불로 지급해 준답니다. 육아휴직 신청 조건 육아휴직급여는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또는 만 8세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다음 .. 2022. 12. 18. 상속세 면제 한도액[증여세와 차이점] 상속세와 증여세가 헷갈리지 않으신가요? 간단히 말해서 상속세는 사망 후 재산이 무상으로 이전되는 것에 대해 내야 하는 세금이고, 증여세는 살아있는 사람에게 받는 재산에 대한 세금이랍니다. 그중에서 상속세 신고기간과 면제 한도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상속세란? 상속세란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당해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상속세는 상황에 따라 상속세 세율과 면제 한도액이 다르므로 절세를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거주자일 경우와 비거주자일 경우에 따라 신고 기간과 세액 산출이 다릅니다. (거주자인 경우)국내 및 국외에 있는 모든 상속재산 (비거주자인 경우)국내에 있는 모든 상속재산 ※ 거주자와 비거주자란?.. 2022. 12. 14.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