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7

국민연금 임의가입, 임의계속가입 제도 차이점 국민연금 제도 중에 이름이 비슷하여 헷갈린 적 많으시죠. 저는 특히 임의가입과 임의계속 가입이 너무 헷갈렸어요. 두 제도의 차이점 쉽고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임의가입이란? 임의가입 제도는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니더라도 본인이 희망한다면 가입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 소득이 있는 국민이라면 의무가입 대상이지만, 소득이 없는 만 27세 미만의 학생이나 무소득 배우자(부부 중 소득이 없는 사람), 군인, 기초수급자 등이 임의가입 제도를 활용하여 국민연금에 가입하실 수 있어요. 임의가입자는 얼마내야 하나요? 임의가입자는 납부의 기준이 되는 소득이 따로 없기 때문에, 국민연금 지역가입자의 중위수 소득에 해당하는 연금보험료를 냅니다. 2022년 4월 기준 .. 2022. 12. 13.
2023년 부모급여 신청[영아수당, 양육수당, 아동수당 비교] 사랑스러운 우리 아이, 뭐든 다 해주고 싶지만 양육비 부담이 큰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걱정을 덜어주고자 2023년부터는 부모 급여 지원이 시작되는데요. 새롭운 제도라 생소하기도 하고, 영아 수당, 양육수당, 아동수당 등 이름도 비슷하고 대체 뭐가 다른 건지 너무 헷갈립니다. 다시는 헷갈리지 않도록 쉽고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모급여 지원 내용 부모 급여는 기존의 양육수당과 영아 수당이 통합되어 2023년부터 시행되는 정책입니다. ✅️ 2022년 👉 만 0세 & 만 1세 공통 가정양육 시 : 월 30만 원 부모에게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 : 월 50만 원을 어린이집 이용비용으로 지원 ✅️2023년 👉 만 0세 자녀가 있는 경우 가정양육, 시설 이용 여부에 상관없이 부모에게 월 70만 원이 지급 👉 만.. 2022. 12. 7.
국민연금 유족연금[수령조건, 신청방법, 수령액 등 총정리] 국민연금 유족연금은 국민연금을 받으시던 분이 사망하시어, 그 유족들에게 지급되는 연금인데요. 그 기준이 무엇인지 어떻게 지급되는지 조금 어렵고 복잡해 보이는 게 사실입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액 및 수령조건, 지급기간,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국민연금 유족연금이란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였던자)이거나 노령연금 또는 2급 이상 장애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망하면 그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던 유족들이 안정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급여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유족연금은 사망자의 국민연금 가입기간에 따라 기본연금액 일부에 가족수당 성격의 ‘부양가족 연금액’이 더해져 매달 지급됩니다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액은 국민연금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입 기간 10년 .. 2022. 12. 6.
종부세 분할납부 신청방법, 납부기한 종합부동산세가 나왔습니다... 한 번에 다 내기에는 금액이 커서 부담스러운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이럴 때는 종부세 분할납부가 가능하니, 신청방법과 납부기한 등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종합부동산세란? 재산세의 하나로,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토지와 주택 소유자에 대해 국세청이 별도로 누진 세율을 적용하여 부과합니다. 분할납부 기준 금액 납부하실 세액이 25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분납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250만 원 초과 500만 원 이하인 경우 납부할 세액에서 250만 원을 뻰 금액을 분납 가능합니다. 예시) 종합부동산세로 400만 원이 고지된 경우라면, 22년12월15일 까지 250만 원을 납부하신 후, 나머지 150 만원을 23년 6월15일까지 납부하실 수 있어요 2. 500만 원 초과인.. 2022. 12. 4.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