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전세 보증(HUG,HF,SGI)가입 비교

by 부자 언니 12 2022. 9. 29.

이사를 준비 중이신가요? 아니면 이사를 하셨나요?

요새 전세 때문에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서 걱정이실 거예요.

그 걱정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전세보증보험 세가지(HUG,HF,SGI)에 대해 알아볼게요.

hug


전세보증보험이란?

집주인(=임대인)이 세입자(=임차인)가 계약하며 맡긴 보증금을 무사히 돌려줄 수 있도록 보장하는 보증상품입니다.

전세대출은 은행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SGI서울보증 등에서 내준 보증서를 기반으로 돈을 빌려주게 돼요.

내가 빌릴 금액이 얼마인지에 따라 보증기관과 그에 따른 대출상품이 달라질 수 있답니다.

 

※중요해요!!!

빌라 중에서 '근린생활시설'로 분류돼 있는 곳은 전세보증보험을 들 수 없어요!

오피스텔도 '주거용'이라고 명시돼 있어야 해요.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할 예정이라면 건축물대장을 통해 내가 계약할 건물의 용도를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1. HF 전세지킴보증

▶전세보증금이 수도권 기준 7억원, 비수도권 기준 5억원 이하일 때 이용 가능합니다.

▶HF 보증을 받는다면, 2억 2200만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
▶보증료율은 연 0.04%입니다.

만약 전세보증금이 2억원일 경우 보증료를 연 8만원씩 내야 하는 거예요.
다자녀 신혼부부 등은 우대를 받아 기존의 절반인 연 0.02%만 내시면 돼요.
▶계약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세부 내용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바로가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hf


※보증료는 무엇인가요? 

각 기관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보험을 들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각 기관이 가입자에게 일종의 보험료를 받는 것이랍니다.
전세보증금의 보증료율을 곱한 금액을 내게 됩니다.


※계약기간의 절반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새로 전세계약을 했을 경우에, 계약금을 제외한 잔금을 모두 지급한 날과 전입신고일 중 늦은 날로부터 계약 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을 의미합니다.
전세 계약을 갱신하는 경우라면, 갱신하는 계약 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이예요.
만약, 집주인과 2024년 8월 31일까지 전세 계약을 맺은 뒤, 2022년 9월 1일에 잔금을 치르고 전입신고를 했다면 계약기간의 절반인 2023년 8월 31일까지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어요.

2.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전세보증금이 수도권 기준 7억원, 비수도권 기준 5억원 이하일 때 이용 가능합니다.
▶HUG 보증을 받는다면 4억원(청년,신혼부부는 4억 5000만원)까지 빌려줍니다.
▶보증료율은 주택 유형과 부채비율에 따라 다른데요, 연 0.115~0.154% 수준입니다.
▶계약기간의 절반이 넘기 전에 신청 가능합니다.

단, HUG가 보증하는 대출상품을 이용할 때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세부 내용은 주택도시보증공사 홈페이지 바로가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ug


3. SGI서울보증, 전세금보장 신용보험

▶아파트는 보증금 제한이 없고. 아파트 외 주택을 계약한다면 보증금이 10억원 이하일 때 이용 가능합니다.
▶SGI의 보증을 받는다면, 5억원까지 빌릴 수 있답니다.
▶보험요율이 연 0.192~0.273%로 세 곳 중 가장 높습니다.
▶마찬가지로 계약기간의 절반이 넘기 전에 신청 가능합니다.
▶세부 내용은 SGI서울보증 홈페이지 바로가기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sgi

★정리해 드려요!

HF와 HUG의 보증보험은 내야 하는 보증료가 비슷하기 때문에 대출 금액에 따라 적절한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만약 주택 가격이 수도권 7억원, 그 외 지역 5억원을 넘는다면  SGI서울보증의 상품을 선택해야 한답니다.

전세보증전세보증전세보증

보증료를 내야 하긴 하지만, 그래도 나의 보증금을 지켜준다고 하니 자세히 알아보시고 가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새로운 집에서 항상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아래에 함께 보시면 좋은 정보가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보는법(집 계약시 주의)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보는법(집 계약시 주의)

집을 계약하실 때 임대차 계약서를 보는 것이 어렵지 않으셨나요? 저는 부동산에서 알아서 봐주겠지 하고 대충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봐도 잘 모르기도 했고요😂 하지만 반드시 알고 있

ak12.miri-main.com

전입신고, 확정일자 안 받으면 어떻게 될까?

 

전입신고, 확정일자 안 받으면 어떻게 될까?

집을 계약하셨나요? 힘든 이사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어요. 바로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안 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요? 먼저 우리는 '우선 변

ak12.miri-main.com

전세사기 4가지 유형과 피하는 방법

 

전세사기 4가지 유형과 피하는 방법

요즘 전세사기 관련 뉴스가 많이 나오는데요. 어떤 유형들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그런 일을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미리 알고 조심하면 안 당할 수 있어요!! ★

ak12.miri-main.com

깡통전세란? 피하는 방법

 

깡통전세란? 피하는 방법

최근 집값이 하락함에 따라 깡통전세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는 전세 사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에, 미리 공부해서 예방해야겠습니다. 한번 쉽고 자세히 알아볼까요~ ★깡

ak12.miri-main.com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