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7 숨은 돈 찾기 3가지 방법 많은 분들이 예전에 만들어 놓은 예금, 적금을 잊고 있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또 깜박하고 아직 받지 않은 보험금도 많다고 해요. 소중한 우리 돈이 어디 숨어있나 찾으러 가볼까요~ 1. 잊어버린 예금 찾기 금융회사는 특정한 기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휴면 예금'으로 분류합니다. 이렇게 잠자는 돈이 무려 1조 원이 넘는 다고 하니 잠자고 있는 나의 돈을 깨우러 가요. 금융위원회는 잊기 쉬운 휴면 예금으로 다음 4가지를 뽑았습니다. ① 스쿨뱅킹: 급식비 등을 만원 단위로 입금하기 때문에 잔액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장학적금: 전학을 하면서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③ 장기 예적금: 주거래은행을 바꿔도 예적금과 신탁은 거래은행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만기까지 기다리다가 잊어버리는 경우가 .. 2022. 9. 15.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혜택 쉽게 정리!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혹시 아직 없으시다면 지금 만들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2023년부터는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이 커지기 때문이에요. 알기 쉽게 올해와 비교해 볼게요~ 올해까지는 이렇게 적용돼요 ★50세 미만일 경우 *총급여액이 5,500만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이하: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5%(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올해 연금계좌에 700만원을 넣으면 연말정산 때 700만원의 15%인 105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총급여액 5500만원 초과: 연금계좌에 넣은 돈의 12%(1년에 최대 700만원까지)를 세액 공제해 줍니다. 700만원을 넣었다면 700만원의 12%인 84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아요. ★50세 이상일 때.. 2022. 9. 13. 깡통전세란? 피하는 방법 최근 집값이 하락함에 따라 깡통전세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는 전세 사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에, 미리 공부해서 예방해야겠습니다. 한번 쉽고 자세히 알아볼까요~ ★깡통 전세란? 보통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70퍼센트를 넘어서면 깡통 전세로 봅니다. ※ 위험해요! *전세가 > 매매가 *전세가 + 대출금 > 매매가 ※ 확인할 점! 모든 깡통전세가 전세 사기로 이어지는 건 아니에요. 집값이 떨어져 자연스레 깡통전세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집을 경매에 넘겨 보증금을 못 받는 등의 사례가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금을 제때에 갚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갈 수 있고, 경매에서 낙찰된 금액으로 대출금을 갚고 나면 세입자에게.. 2022. 9. 13.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과 지급일 올해 상반기 근로장려금 신청하셨나요? 신청기간은 9월1일(목)~9월 15일(목)까지이니 놓치지 마세요~ 그럼 신청자격 등을 자세히 알아볼께요^^ ★근로장려금이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어려운 근로자와 사업자에게 국세청이 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1가구에 1명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작년 12월 31일 기준 배우자, 부양가족 유무에 따라 단독 홑벌이, 맞벌이 가구로구분합니다. 지난해 부부 합산 총소득과 올해 부부 합산 근로소득이 ◎단독가구일 경우 : 2,200만원 ◎홀벌이가구일 경우 : 3,200만원 ◎맞벌이가구일 경우 : 3,800만원 미만이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 지난해 6월 1일 기준으로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이 2억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이때 빚은 빼지 않습니다.. 2022. 9. 13. 연금 세금 절약 방법(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공제하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은퇴하고 수입이 없어서 연금으로 생활하는데 세금을 공제해가면 정말 타격이 큽니다. 그럼 이 세금을 줄일 방법이 있을까요? 네! 있습니다~ 한번 자세히 알아볼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천천히 조금씩' 연금을 받는 것입니다. 국가가 운영하는 국민연금 외에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연금 상품은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이 있습니다. ◎ 개인연금: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 개인이 직접 금융기관을 통해 가입하는 연금상품 ◎ 퇴직연금: 일하면서 모은 퇴직금을 은퇴 후 연금으로 나눠 받는 연금상품 개인연금은 만 55세부터 받을 수 있어요. 이때 연금액의 3.3~5.5%를 세금으로 냅니다.(연금소득세) 참고로 회사를 다닐 때는 소득세를 최소 6%를 내니, 그보다는 낮아요. 하.. 2022. 9. 7. 전입신고, 확정일자 안 받으면 어떻게 될까? 집을 계약하셨나요? 힘든 이사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어요. 바로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안 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요? 먼저 우리는 '우선 변제권'의 개념을 알아야 해요. 우선변제권이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세입자(임차인)가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권리랍니다. 월세 보증금 혹은 전세금을 맡긴 집이 경매등으로 팔리면 제값을 받기 어려울 수 있어요. 그때 "내가 가장 먼저 돈을 받을수 있는사람"라고 알리는 권리를 말합니다. 우선변제권 순위가 높은 사람, 또는 기관부터 돈을 돌려받기 때문에 우선 변제권 순위가 늦다면 돈을 돌려받기 어려울 가능성도 생깁니다. 자, 그럼 우선변제권을 갖기 위해서는 어떻해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건을 .. 2022. 9. 6.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보는법(집 계약시 주의) 집을 계약하실 때 임대차 계약서를 보는 것이 어렵지 않으셨나요? 저는 부동산에서 알아서 봐주겠지 하고 대충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봐도 잘 모르기도 했고요😂 하지만 반드시 알고 있어야 나의 소중한 자산을 지킬 수 있으니 이제라도 꼼꼼히 알아보기로 해요. 어렵지 않으니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건축물대장, 등기부등본, 계약서를 대조해 보시면 됩니다!! 1. 건축물관리대장과 등기부등본,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의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 건축물대장은 건물이 언제 어디에 지어졌는지,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어떤 종류이며 어떤 구조인지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정부가 관리하는 문서입니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에 쓰여 있는 정보가 건축물대장과 다르면 "내가 여기에 살고 있다"라는 권리를 인정받기 .. 2022. 9. 5. 국민연금 추납제도 알아보기(납부방법) 그동안 못 낸 국민연금 꼭 내야 하는지 궁금하셨죠? 내는 것이 좋은지, 안내도 되는 것인지 한번 알아보기로 해요^^ 국민연금을 내고 계신가요? 회사를 다니면 국민연금(월 소득액의 4.5%)을 냅니다. 그런데 실직, 건강 악화, 사업 중단 등으로 수익이 없어서 국민연금을 못 낼수도 있어요. 그렇다면 다시 돈을 벌기 시작했을 때 그동한 못낸 국민연금을 내는 게 좋을까요? 꼭 내야 하는 건 아니지만요, 내면 좋은 이유가 있답니다. 미납분을 낸다면 나중에 더많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예요. 국민연금은 낸 돈보다 많이 돌려 받는 구조입니다. 만약 월평균 소득 100만원이라면 납입 금액의 3.2배를, 500만원이라면 1.4배를 돌려받습니다. 고소득자일수록 이 비율이 낮아지지만, 그래도 낸 돈보다는 더 돌려 .. 2022. 9. 3.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