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29 깡통전세란? 피하는 방법 최근 집값이 하락함에 따라 깡통전세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는 전세 사기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에, 미리 공부해서 예방해야겠습니다. 한번 쉽고 자세히 알아볼까요~ ★깡통 전세란? 보통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70퍼센트를 넘어서면 깡통 전세로 봅니다. ※ 위험해요! *전세가 > 매매가 *전세가 + 대출금 > 매매가 ※ 확인할 점! 모든 깡통전세가 전세 사기로 이어지는 건 아니에요. 집값이 떨어져 자연스레 깡통전세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집을 경매에 넘겨 보증금을 못 받는 등의 사례가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금을 제때에 갚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갈 수 있고, 경매에서 낙찰된 금액으로 대출금을 갚고 나면 세입자에게.. 2022. 9. 13. 전입신고, 확정일자 안 받으면 어떻게 될까? 집을 계약하셨나요? 힘든 이사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어요. 바로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안 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요? 먼저 우리는 '우선 변제권'의 개념을 알아야 해요. 우선변제권이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세입자(임차인)가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권리랍니다. 월세 보증금 혹은 전세금을 맡긴 집이 경매등으로 팔리면 제값을 받기 어려울 수 있어요. 그때 "내가 가장 먼저 돈을 받을수 있는사람"라고 알리는 권리를 말합니다. 우선변제권 순위가 높은 사람, 또는 기관부터 돈을 돌려받기 때문에 우선 변제권 순위가 늦다면 돈을 돌려받기 어려울 가능성도 생깁니다. 자, 그럼 우선변제권을 갖기 위해서는 어떻해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건을 .. 2022. 9. 6.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보는법(집 계약시 주의) 집을 계약하실 때 임대차 계약서를 보는 것이 어렵지 않으셨나요? 저는 부동산에서 알아서 봐주겠지 하고 대충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봐도 잘 모르기도 했고요😂 하지만 반드시 알고 있어야 나의 소중한 자산을 지킬 수 있으니 이제라도 꼼꼼히 알아보기로 해요. 어렵지 않으니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건축물대장, 등기부등본, 계약서를 대조해 보시면 됩니다!! 1. 건축물관리대장과 등기부등본,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의 주소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 건축물대장은 건물이 언제 어디에 지어졌는지,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어떤 종류이며 어떤 구조인지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정부가 관리하는 문서입니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에 쓰여 있는 정보가 건축물대장과 다르면 "내가 여기에 살고 있다"라는 권리를 인정받기 .. 2022. 9. 5. LTV과 DTI, DSR의 개념과 차이점 요즘 대출 정책이 너무 자주 바뀌어서 "그래서 도대체 내가 돈을 빌릴 수 있는 건지 없는 건지?" 하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TV에서 많이 등장하는 LTV, DTI, DSR 3가지 개념만 알아도, 우리의 대출 가능 여부에 대해 이해하기가 편하실 거예요.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해요~ ★ LTV(loan to value ratio)란? 집을 살 때는 '주택담보대출 을 많이 받는데요. 한마디로 내가 살 집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것인데, 이때 집값 대비 얼마까지 빌릴 수 있는가를 LTV(주택담보대출비율)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5억원짜리 집을 사기 위해 집을 담보로 4억원을 빌렸다면 LTV는 80%가 됩니다. ★DTI( Debt To Income)란? 소득에 비해 빚을 깊을 능력이 얼마나 되는냐 하.. 2022. 8. 30. 이전 1 ··· 4 5 6 7 8 다음